프론트엔드 개발자, 김영주 입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좋아하고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주도적으로 개선하려고 합니다. 개인보다는 팀워크를 중요시하며, 최근에는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과 의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리액트 기반의 Next.js를 활용하여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적응력, 업무 속도, 처리 능력이 빠르기 때문에 요청사항의 텀이 짧은 고객-마케팅팀과 가장 많이 협업했습니다. 주어진 요구사항 외에도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이끌어나가며 원팀으로 움직이며 Comfort Zone을 벗어나 타팀에게 도움이 되는 팀원이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aside> 💡 저에 대한 더 상세한 소개, 인턴 경험 및 다른 프로젝트들은 아래에 있는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글로벌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계속 영문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aside>
제 경력 내에서 단순히 사용했던 기술을 나열하는 것 보단 공유하고 싶은 주요 중요 프로젝트, 임팩트, 실패경험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러닝 포인트들로 정리 했습니다.
2023.05 ~
Next.js, Typescript, TailwindCSS, React Query
2023.07 ~
Next.js, TailwindCSS, React Query
팀에 합류 후 새로 웹 서비스를 시작 단계부터 만들어 나갔으며 Next.js App Router로 서비스를 구현하였습니다.
DX 관점에서 모듈 설계와 같은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진행하였고 적절한 서버사이드 프리페칭과 이미지 렌더링 사이즈 개선을 통해 서비스의 전체적인 Vital Score를 3배 정도 향상 시켰습니다.
Event Logging Module
Next.js, React Query, TailwindCSS
2023.05 ~ 2023.07
서비스의 리텐션 및 신규 유저 유치를 위해 새로운 기능들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Creative Works 팀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소규모의 프로젝트를 빠르게 만들고 실행하려고 만들어졌던 팀이였습니다.
여러 프로젝트의 프론트를 맡아서 진행하였고, 그 중 사진을 찍어서 제출하여 출석체크를 하고 주식을 지급 받는 리워드성 이벤트 프로젝트인 주식저금통 은 실질적인 모수는 적었지만 기존 유저의 리텐션을 최대 73.5%까지 올렸던 결과를 내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웹뷰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고 앱팀과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2022.01 ~ 2023.05
Next.js, Typescript, TailwindCSS, React Query, Context API
Next.js, React Query, Hackle, Mixpanel, TailwindCSS
*2022.11 ~ 2023.02*
2022년~2023년의 신년 프로모션의 가입-결제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결성된 스쿼드였고 스쿼드 인원 중 프론트엔드 부분을 담당하며 랜딩 페이지의 많은 부분을 리뉴얼했습니다. 이는 사내 최초로 진행한 목적 기반 실험 단위 조직이었습니다.
당시 뿐만 아니라 차후 진행될 프로모션까지 대비하여 랜딩 홈을 섹션 단위로 쪼개어 핵클의 원격구성 기능을 도입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이에 마케팅팀에서 직접 query parameter에 맞춰 랜딩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게 설계 및 개발했고, 현재 링글에서 사용하고 있는 홈 랜딩을 결과물로 내었습니다.
Google Tag Manager, Amplitude, Mixpanel
2022.07 ~ 2022.10
Data SaaS Implementation and Data Taxonomy Management
링글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며 이전의 구조에서는 유저의 데이터를(클릭 이벤트, PV 이벤트) 보기 힘든 환경임을 인지하였습니다. UX팀, Customer 팀과 One-Team으로써 프로덕트를 성장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필요도를 느껴 데이터 트래킹을 새로 자발적으로 배워가며 extra two mile로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GA만으로는 다른 팀이 데이터를 보기에 어렵다는 의견을 받아서 Amplitude를 도입하여 적용했고, 관련해서 데이터 텍소노미도 1차와 2차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통한 이터레이션을 거쳐 생성했습니다. 추후, 전사적 데이터 툴 도입 결정 시에 주요 의사 결정자 중 한명으로써 Mixpanel 도입 및 기타 데이터 툴 도입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8월부터 DI(Data Intelligence) 팀이 생성되어 팀의 첫 멤버로 참여했습니다.
Next.js, TailwindCSS, React Query, Context API, TailwindCSS
2022.01 ~ 2022.06
입사 후 우선적으로 개발팀의 다양한 문제점을 귀 기울여 듣고 개발 진행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다수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GNB & Popup System Renewal
User State & Server State Renewal
Locale System Renewal